Abstract
-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on estuarine ecosystem conducted from 2021 to 2023,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invasive alien species. A total of six invasive alien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M.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L. macrochirus], Lithobates catesbeianus [L. catesbeianus], Trachemys scripta [T. scripta], Pseudemys concinna [P. concinna], and Pseudemys nelsoni [P. nelsoni]) were identified across 118 estuarine wetlands. The survey revealed 960 individuals of M. salmoides, 2,596 individuals of L. macrochirus, 1,088 individuals of L. catesbeianus, and 44 individuals of T. scripta, while 1 individual of P. concinna and P. nelsoni were found. These invasive species were found to be densely distributed in estuarine wetlands in the Haenam and Goheung regions of the southern coast.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density vari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locations of the estuarine wetlands. It was observed that the distribution density was higher in closed type than in open type, in riverine than in lacustrine, and in the south coast than in the east coast. Once the basic survey of estuarine wetlands located on the west coast is completed,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nationwid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estuarine wetlands can be achieved. This information will be crucial for formulating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s or coastal areas in the future.
-
Keywords: Amphibians, Reptiles, Fish, Monitoring, Estuarine ecosystem
1. 서론
-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어 독특한 환경 특성을 갖는 하구습지는 동식물의 중요한 서식처로서 핵심적인 생태계 기능을 담당하며,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Barbier et al., 2011; Boerema and Meire, 2017; Junk et al., 2006). 이와 같이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하구습지는 생태계교란 생물(invasive alien species)의 유입과 확산에 의해 서식처 교란 및 생물다양성 감소 등 다양한 위협을 받고 있다(Ren et al., 2021; Williams and Grosholz, 2008). 하구 생태계가 갖는 높은 생산성, 조수의 변동, 서식처의 이질성 등 역동적인 물리적, 생태적 특성이 생태계교란 생물 포함 외래종의 침입과 확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Nehring, 2006). 뿐만 아니라 해상 운송, 양식, 해안 개발과 같은 인위적 활동이 외래종의 정착을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Briggs, 2012; Newton et al., 2020).
- 생태계교란 생물은 새로운 서식처에 빠르게 정착하고 생장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지역 내 생물다양성, 생태계 기능 및 인간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며(Pyšek et al., 2020; Strayer, 2010), 현대 생태학 관점 및 보전 정책과 관련하여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Williams and Grosholz, 2008). 따라서 하구습지에서 생태계교란 생물의 분포 패턴과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효과적인 관리 및 보전에 있어서 중요하다. 성공적인 침입 및 확산을 이끌어내는 주요 요인들을 식별할 수 있으며, 관리와 제거에 필요한 적합한 전략을 개발하여 하구습지에 대한 체계적인 보전 정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구 생태계 조사’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하구습지 내 생태계교란 생물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습지 특성 및 위치에 따른 분포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하구습지 특성에 부합하는 보전 및 관리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대상 지역 및 조사 방법
- 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에 걸쳐 동해 및 남해 권역 등 288개 하구습지를 대상으로 수행한 하구 생태계 조사 연구 결과를 활용하였다(Fig. 1). 이 중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생물이 출현한 118개 하구습지만 추출하여 생태계교란 생물 분포 현황을 분석하였다. 하구 말단이 인공 수문에 의해 유수의 흐름이 통제되거나 제방을 축조하여 물을 가두는 형태 등 인위적으로 연결성이 단절된 닫힌 하구습지는 74개이며, 담수와 해수가 자연스럽게 혼합되는 열린 하구습지는 44개이다.
- 생물상 조사 분야는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담수, 해수) 5개로 구분되며, 현장조사는 내륙습지 조사지침(‘21) 내 분야별 조사 방법을 준용하였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1). 어류는 투망과 족대를 기본 장비로 활용하며, 양서·파충류는 포충망과 뱀집게를 이용한 직접 확인과 울음소리를 통한 간접확인을 병행하였다. 조류는 육안, 쌍안경 등을 활용한 선 및 정점조사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D-frame net와 scoop net를 활용하여 정량 및 정성채집을 수행하였다. 생물상 조사 분야 모두 상반기와 하반기로 구분하여 연 2회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출현 지점별 개체 수와 위치 정보 등을 취득하였다. 이후 QGIS 3.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점별 분포 현황 자료를 지도화하였다(QGIS Development Team, 2024).
3. 결과
- 본 연구에서 확인된 생태계교란 생물은 어류 2종(배스[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양서류 1종(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 파충류 3종(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리버쿠터[Pseudemys concinna], 플로리다붉은배거북[Pseudemys nelsoni])으로 총 6종이 출현하였다. 분포 현황으로는 배스가 60개 하구습지에서 960개체, 블루길은 49개소에서 2,596개체, 황소개구리는 75개소에서 1,088개체, 붉은귀거북은 10개소에서 44개체 그리고 리버쿠터는 아주천하구습지(Ajucheon, AJ)에서, 플로리다붉은배거북은 온천천하구습지(Oncheoncheon, OC)에서 각각 1개체씩 확인되었다(Supplementary Material 1). 습지별로 배스는 삼산천하구습지(Samsancheon, SK)에서 144개체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서낙동강하구습지(Seonakdongnag, SD) 63개체, 태화강하구습지(Taehwagang, TH) 58개체 순이었다(Fig. 2). 블루길은 해만장2방조제하구습지(Haemanjang, HM)에서 295개체로 풍부도가 가장 높으며, 삼산천하구습지(SK) 254개체, 해창만하구습지(Haechangman, HN) 227개체 순으로 확인되었다. 황소개구리는 용산천하구습지(Yongsancheon, YS)에서 133개체로 풍부도가 가장 높고, 금호호하구습지(Geumhoho, GH) 128개체, 고천암호1습지(Gocheonamho1, GC1) 55개체 순으로 확인되었다. 붉은귀 거북은 대독천하구습지(Daedokcheon, DD)에서 26개체로 풍부도가 가장 높았다.
- 하구습지가 위치한 행정구역 중 24개 시군에서 생태계교란 생물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해남군에 위치한 하구습지에서 배스 329개체, 블루길 686개체, 황소개구리 391개체, 총 1,406개체(30.0%)로 풍부도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고흥군 1,393개체(29.7%), 부산광역시 453개체(9.7%), 사천시 315개체(6.7%), 강진군 242개체(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또한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하구습지에서는 배스, 블루길,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 플로리다붉은배거북 총 5종으로 가장 많은 종의 생태계교란 생물이 확인되었다.
- 하구습지 특성에 따른 생태계교란 생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한 결과, 수문, 보 등에 의해 종적 연결성이 단절된 닫힌 하구습지(closed)에서 열린 하구습지(open)보다 생태계교란 생물의 풍부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3). 또한 호수형(lacustrine) 하구습지보다는 하천형(riverine) 하구습지에서 그리고 동해안(east coast)보다는 남해안(south coast)에 위치한 하구습지에서 생태계교란 생물의 풍부도가 높았다.
4. 결론 및 토의
- 총 118개 하구습지에서 출현한 생태계교란 생물은 배스, 블루길,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 리버쿠터, 플로리다붉은배거북 6종이며 4,690개체가 확인되었다. 이 중 배스, 블루길, 황소개구리 3종의 풍부도가 4,644개체(9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해남군과 고흥군에서 개체 수가 많았다. 해당 행정구역에는 담수와 해수의 혼합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닫힌 하구습지가 대부분으로, 3종 모두 담수생물이기에 염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닫힌 하구습지를 서식처로 선호하기 때문에 개체 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Brown et al., 2009; Costantini et al., 2023; Schultz, 2010; Ward et al., 2015).
- 본 연구를 통해 하구습지에 서식하는 생태계교란 생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자료의 축적은 생태계교란 생물의 서식처 특성과 확산 패턴을 추적하는 학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생태계교란 생물 제거 사업 등 습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정책 지원에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서해안에 위치한 하구습지에 대한 기초조사가 완료된다면, 하구습지에 서식하는 생태계교란 생물의 전국 단위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해역 또는 습지 특성별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Notes
-
Conflict of Interest
On behalf of all authors, the corresponding author states that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
-
Funding Information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A-2024-20).
-
Data Availability Statement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penly available in Ecobank at http://doi.org/10.22756/GEO.20240000000847.
Supplementary Material
Fig. 1.Study sites in estuarine wetland from 2021 to 2023.
Fig. 2.Distribution status and individual number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estuarine wetland, Korea. (A) Micropterus salmoides. (B) Lepomis macrochirus. (C) Lithobates catesbeianus. (D) Trachemys scripta. (E) Pseudemys concinna. (F) Pseudemys nelsoni.
Fig. 3.Individual number of invasive alien spe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stuarine wetland. (A) Individual number according to connectivity and wetland type. (B) Individual number according to connectivity and sea area. L, lacustrine; R, riverine. M. salmoides, Micropterus salmoides; L. macrochirus, Lepomis macrochirus; L. catesbeianus, Lithobates catesbeianus; T. scripta, Trachemys scripta; P. concinna, Pseudemys concinna; P. nelsoni, Pseudemys nelsoni.
Table 1.Individual number of invasive alien speci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estuarine wetland
Region |
No. of wetland |
Micropterus salmoides
|
Lepomis macrochirus
|
Lithobates catesbeianus
|
Trachemys scripta
|
Pseudemys concinna
|
Pseudemys nelsoni
|
Boseong |
5 |
9 |
76 |
46 |
|
|
|
Busan |
8 |
159 |
244 |
45 |
4 |
|
1 |
Changwon |
3 |
5 |
|
3 |
3 |
|
|
Gangjin |
8 |
54 |
93 |
95 |
|
|
|
Gangneung |
6 |
12 |
|
64 |
1 |
|
|
Geoje |
4 |
|
|
9 |
1 |
1 |
|
Goheung |
14 |
97 |
1,080 |
216 |
|
|
|
Goseong |
6 |
|
83 |
18 |
28 |
|
|
Gwangyang |
2 |
5 |
7 |
|
2 |
|
|
Gyeongju |
1 |
|
|
|
1 |
|
|
Hadong |
3 |
8 |
|
2 |
|
|
|
Haenam |
17 |
329 |
686 |
391 |
|
|
|
Jangheung |
2 |
41 |
|
|
|
|
|
Namhae |
6 |
|
|
73 |
|
|
|
Pohang |
3 |
7 |
9 |
|
|
|
|
Sacheon |
10 |
14 |
242 |
59 |
|
|
|
Samcheok |
1 |
|
|
2 |
|
|
|
Sokcho |
1 |
|
|
1 |
|
|
|
Suncheon |
1 |
1 |
|
|
|
|
|
Tongyeong |
2 |
|
|
12 |
|
|
|
Uljin |
3 |
34 |
|
1 |
|
|
|
Ulsan |
6 |
74 |
27 |
|
|
|
|
Yeongam |
3 |
55 |
49 |
43 |
4 |
|
|
Yeosu |
3 |
56 |
|
8 |
|
|
|
Total |
118 |
960 |
2,596 |
1,088 |
44 |
1 |
1 |
References
- Barbier EB, Hacker SD, Kennedy C, et al (2011) The value of estuarine and coastal ecosystem services. Ecol Monogr 81(2):169–193Article
- Boerema A, Meire P (2017) Management for estuarine ecosystem services: a review. Ecol Eng 98:172Article
- Briggs JC (2012) Marine species invasions in estuaries and harbors. Mar Ecol Prog Ser 449:297–302Article
- Brown TG, Runciman B, Pollard S, Grant ADA (2009) Biological synopsi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Can Manuscr Rep Fish Aquat Sci 2884:1–27
- Costantini ML, Kabala JP, Sporta Caputi S, et al (2023) Biological invasions in fresh waters: Micropterus salmoides, an American fish conquering the world. Water 15(21):3796Article
- Junk WJ, Brown M, Campbell IC, et al (2006) The comparative biodiversity of seven globally important wetlands: a synthesis. Aquat Sci 68:400414ArticlePDF
-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1) Inland Wetland Survey Guidelin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p. 2–70
- Nehring S (2006) Four arguments why so many alien species settle into estua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erman river Elbe. Helgol Mar Res 60(2):127–134ArticlePDF
- Newton A, Icely J, Cristina S, et al (2020) Anthropogenic, direct pressures on coastal wetlands. Front Ecol Evol 8:144Article
- Pyšek P, Hulme PE, Simberloff D, et al (2020) Scientists’ warning on invasive alien species. Biol Rev Camb Philos Soc 95(6):1511–1534ArticlePubMedPMCPDF
- QGIS Development Team (2024) Q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QGIS Association. https://www.qgis.org Accessed 15 Apr 2024
- Ren J, Chen J, Xu C, et al An invasive species erodes the performance of coastal wetland protected areas. Sci Adv 7(42):eabi8943ArticlePubMedPMC
- Schultz K (2010) Ken Schultz’s Field Guide to Freshwater Fish. John Wiley & Sons, Hoboken (NJ), p. 62–63
- Strayer DL (2010) Alien species in fresh waters: ecological effects, interactions with other stressor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Freshw Biol 55:152Article
- Ward DL, Finch C, Blasius H (2015) Could high salinity be used to control bullfrogs in small ponds? J Arizona-Nevada Acad Sci 46(2):50–52Article
- Williams SL, Grosholz ED (2008) The invasive species challenge i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rying management and science. Estuaries Coast 31:3–20ArticlePDF
Appendix
Metadata for Dataset
Sort |
Field |
Subcategory#1 |
Subcategory#2 |
Essential |
*Title |
Data 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the Estuarine Wetlands |
|
*DOI name |
http://doi.or.kr/10.22756/GEO.20240000000847
|
|
*Category |
Biota, Ecology |
|
Abstract |
|
|
*Temporal Coverage |
3 years |
From 2021 to 2023 |
*Spatial Coverage |
Address |
In Korea |
WGS84 Coordinates |
Latitude: 34.36°N-38.33°N |
|
Longitude: 126.36°E-129.47°E |
*Personnel |
Name |
Yeounsu Chu |
Affiliation |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E-mail |
hhloveys@nie.re.kr |
*CC License |
CC BY-NC |
|
Optional |
*Project |
Survey on Estuarine Ecosystem |
|
*Instrument |
Qgis 3.26.0 |
|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