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GEO DATA : GEO DATA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GEO DATA > Volume 6(4); 2024 > Article
Data Article
개방형 수로 내 포유류 추락 현황
김지윤1orcid, 이한비1orcid, 김기현2orcid, 김세희2orcid, 송의근3,*orcid
Status of Mammals Entrapment in Open Irrigation Canals
Jiyoun Kim1orcid, Hanbi Lee1orcid, Kihyun Kim2orcid, Sehee Kim2orcid, Euigeun Song3,*orcid
GEO DATA 2024;6(4):411-419.
DOI: https://doi.org/10.22761/GD.2024.006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1전문위원, 국립생태원,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2연구원, 국립생태원,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3전임연구원, 국립생태원,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1Research Associat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2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3Associate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Euigeun Song Tel: +82-41-950-5426 E-mail: song@nie.re.kr
• Received: December 11, 2024   • Revised: December 19, 2024   • Accepted: December 22, 2024

Copyright © 2024 GeoAI Data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ev next
  • 274 Views
  • 17 Download
  • Linear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railways, and irrigation canals causes habitat fragmentation and disrupts wildlife movement, negatively impacting eco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80 artificial structures across South Korea and analyzed the status of wildlife entrapment prevention facilities and mammal entrapment incidents within irrigation canals. The surveyed structures, including irrigation canals, drainage canals, and roadside ditches, had an average length of 2.57 km, width of 3.34 m, and height of 1.4 m. Most structures (88.8%) were concrete, while 11.3% were mixed concrete and earthen canals. Wildlife entrapment prevention facilities, including escape facilities, cross-movement structures, and avoidance guidance facilities, were installed at low rates. Mammals entrapment incidents were observed 620 cases, with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nd commo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being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Additionally, entrapment incidents involving the endangered Eurasian otter (Lutra lutra) and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were also recorded. Escape facilities and guidance facilit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ccurrence rates of mammals, but the maximum occurrence rates were lower in sections where these facilities were installed.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baseline data for policy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aimed at mitigating wildlife entrapments and improving ecological connectivity in artificial linear infrastructure.
도로 및 철도와 같은 선형 개발 시설은 서식지 패치를 분할하고 파편화를 유발하여 야생동물 개체군, 생태계에 물리적 변화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van der Ree et al., 2011). 농수로는 야생동물의 이동에 교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척추동물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Azedo et al., 2022; Gálvez et al., 2023; Gómez-Ortiz et al., 2024; Morimoto et al., 2021). 또한 야생동물의 일상적인 이동 행동을 방해하며 산란 및 동면기 등 특정 시기에 따라 개체군을 고립시키는 장벽으로 작용한다. 지리적 격리에 의한 국지적 서식지 단절 현상이 지속되면 유기체 및 유전 정보의 이동이 제한되어 개체군 내 유전적 다양성 감소를 유발한다(Collinge, 2001). 이러한 간접적인 영향 외에 우천 시 수로 등 인공구조물 내 급격한 수위 변동으로 추락한 개체가 사망하는 직접적인 영향도 나타난다. 또한 농업용 관개 수로에 차량 및 사람이 추락하여 발생하는 사상 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관개 수로는 용수로와 배수로로 구분되며 설치 위치나 크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다양한 야생동물이 추락하거나 고립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용·배수로는 한국 농어촌공사와 지방자치단체가 조성 및 관리하고 있으며 수원지에서부터 물을 받아 공급하는 대규모 수로인 간선, 간선으로부터 지역 내 농경지 등 세부적인 물 분배를 위한 중간 규모 수로인 지선, 가장 작은 규모 수로인 지거로 연결된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2023년 국가 농업생산기반정비 통계에 따르면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국내 용·배수로는 118,955 km로 그중 인공구조물 형태가 69,388 km, 흙수로 형태는 49,607 km로 나타났으며 흙수로의 연장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인공구조물의 연장은 증가하고 있다(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23). 이렇듯 농업 생산성 개선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농업용 관개 설비 등을 개선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콘크리트 농수로의 공급 및 흙수로의 대체화가 지속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관개 수로로 인하여 발생하는 야생동물 피해는 직접 피해와 간접 피해로 나눌 수 있다. 직접 피해에는 추락, 고립으로 인한 폐사, 포식자에 의한 피식이 포함되며 간접 피해는 인공구조물 설치로 인한 경관 및 서식지 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 등을 포함한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농업용 관개 수로는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멧돼지(Sus scrofa) 등 중소형 포유류부터 한국산 개구리(Rana coreana),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등 양서·파충류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Albanesi et al., 2016; Bae et al., 2024; Lee et al., 2022). 국내에서는 관개 수로로 인해 피해를 입은 야생동물이 지역 119센터, 야생동물구조센터, 지역 동물구조단체 등에 의해 신고 접수 후 구조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농업용 관개 수로로 인한 야생동물 피해 현황을 분석한 국내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며, 기설치된 농업용 관개 수로가 농경지 및 산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최근 환경부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인공구조물에 의한 야생동물 충돌, 추락 피해 실태조사와 인공구조물에 의한 충돌·추락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야생동물 충돌· 추락 피해 실태조사 및 피해 방지 조치 세부 지침을 수립하였다(Table 1) (Ministry of Environment, 2024).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근거로 야생동물 추락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농업용 관개 수로 내 야생동물 피해 현황 및 규모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선형 인공구조물에 의해 단절된 생태계 내 연결성을 보전하고 야생동물 추락 피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1 연구 대상지
전국 야생동물구조센터의 야생동물 추락 신고 접수 현황 자료(2018-2022년) 715건과 언론 보도자료 20건을 분석하여 야생동물 추락이 확인된 수로를 파악하였다(Fig. 1). 야생동물 추락 신고 접수율이 가장 높은 야생동물구조센터는 충남으로 184건, 전북 90건, 강원 75건, 충북 71건, 부산 63건, 울산 47건, 대전 45건, 전남 25건, 경기 22건, 제주 15건, 서울 14건, 경북 7건, 광주 7건, 국립공원생물종보전원 6건, 인천 5건, 경기 북부 3건으로 보고되었다. 야생동물구조센터 접수 데이터와 국립공원, 자연환경보호지역, 수변구역, 습지보호구역 등 자연 생태계 보전을 위해 지정된 보호지역과 인근 수로를 임의 선택하여 총 80개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였다(Fig. 2).
2.2 현장 조사

2.2.1 인공구조물 및 추락 피해 방지 시설

전국에 위치한 인공구조물 80개소를 대상으로 물리적 특성 및 추락 피해 방지 시설 설치 유무를 조사하였다(Table 2). 인공구조물의 범위는 서식지 단절을 유발하고 야생동물의 추락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는 용·배수로, 도로 측구, 집수정을 포함하였고 야생동물 구조물 추락 및 탈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구조물의 유형, 구간 길이(km), 평균 폭(m), 평균 높이(m)를 조사하였다. 또한 탈출 시설, 수로 횡단을 위한 횡단 이동 시설, 추락 방지 및 우회를 유도하는 회피 유도 시설 등 추락 피해 방지 시설의 설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2.2.2 수로 내 야생동물 추락 피해 현장 조사

모든 인공구조물을 중심으로 좌우 50 m의 선형 조사구를 설정한 후 두 계절 이상을 포함하는 2023년 8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대상지별 총 3회 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장 조사는 야생동물 수로 추락 피해 조사 관련 지침에 따라 인공구조물 내부 및 인접한 지면의 야생동물 추락 흔적을 육안 조사하여 종명, 추정 개체수, 흔적 유형, 위치 정보를 수집하였다. 야생동물 추락 건수는 추락에 의해 상처를 입거나 고립된 개체, 사체 및 흔적으로 산정하였다. 흔적 유형은 발자국, 배설물, 털, 깃털, 뼈, 알 그리고 난괴를 포함하였다.
3.1 인공구조물 물리적 특성 및 추락 피해 방지 시설 현황
전국에 위치한 인공구조물 80개소를 대상으로 물리적 특성 및 추락 피해 방지 시설 현황을 조사하였다(Table 2). 연구대상지로 선정된 인공구조물의 소재는 충남이 20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전북 17개소, 경북 10개소, 전남 8개소, 경남 7개소, 충북 5개소, 광주 4개소, 강원 3개소, 경기 2개소, 대전 2개소, 울산 2개소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인공구조물 80개소의 총연장은 205.48 km, 평균 길이는 2.57 km, 최단 구간 길이는 0.6 km, 최장 구간 길이는 4.7 km, 평균 폭은 3.34 m, 최소폭은 0.5 m, 최대폭은 18.5 m, 평균 높이는 1.4 m, 최소 높이는 0.5 m, 최대 높이는 4 m로 나타났다(Table 2). 각 인공구조물의 추락 피해 방지 시설 설치 여부 조사 결과 탈출 시설 27.5% (22개소), 횡단 이동 시설 38.8% (31개소), 회피 유도 시설 20% (16개소)로 추락 피해 방지 시설의 설치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전체 인공 구조물 80개소 중 88.8% (71개소)가 콘크리트 수로로 확인되었으며 11.3% (9개소)는 전체 구간 내 콘크리트 수로와 흙수로가 혼재하는 형태였다.
3.2 수로 내 포유류 추락 피해 현황
인공구조물 80개소에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 포유류 피해 현황은 총 6과 10속 10종, 620건으로 나타났다. 모든 인공구조물에서 포유류의 출현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수달(Lutra lutra),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총 2종이 출현하였다. 다람쥐(Sciurus vulgaris), 청설모(Callosciurus erythraeus ) 등 설치류 흔적은 쥐목 (Rodentia)으로 동정하였다. 인공구조물 내 포유류 출현 흔적이 높게 관찰된 종은 고라니(30.5%), 두더지(19.4%), 너구리(17.3%), 수달(8.9%), 삵(7.9%)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포유류 중 가장 높은 출현을 보인 고라니(189건)의 추락이 확인된 인공구조물은 전체의 62.5% (50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모든 인공구조물에서 야생동물의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1 km당 평균 야생동물 출현 건수는 3.15건/km로 확인되었다. 야생동물 출현 건수가 가장 높게 확인된 인공구조물은 11.25건/km (LW10)로 나타났다. 탈출 시설, 횡단 이동시설, 회피 유도 시설 등 추락 피해 방지 시설 설치 유무에 따른 포유류 추락 피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구간 길이에 대한 포유류 평균 출현 건수와 최대 출현 건수를 확인하였다. 탈출 시설 유무에 따른 포유류 평균 출현 건수와 최대 출현 건수를 파악한 결과 탈출 시설이 존재하는 인공구조물(22 개소)은 3.42건/km와 10.67건/km로 나타났으며 탈출시설 미존재 인공구조물(58개소)은 3.05건/km와 11.25건/km로 확인되었다(Table 4). 횡단 이동 시설 유무에 따른 포유류 평균 포유류 평균 출현 건수와 최대 출현 건수를 파악한 결과, 횡단 이동 시설이 존재하는 인공구조물(31개소)은 평균 5.59건/km와 최대 11.25건/km로 나타났으며 횡단이동 시설 미존재 인공구조물(49개소)은 평균 1.61건/km와 최대 5.56건/km로 나타났다(Table 4). 회피 유도 시설 유무에 따른 포유류 평균 포유류 평균출현건수와 최대출현건수를 파악한 결과, 회피유도시설이 존재하는 인공구조물(16개소)은 평균 2.84건/km와 최대 8.52건/km로 나타났으며 횡단이동 시설 미존재 인공구조물(49개소)은 평균 3.23건/km와 최대 11.25건/km로 나타났다(Table 4).
전국의 인공구조물 80개소를 대상으로 물리적 특성과 추락 피해 방지 시설의 설치 현황을 조사하고 포유류의 추락 피해 실태를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인공구조물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확인되었으며 탈출 시설, 횡단 이동 시설, 회피 유도 시설의 설치 비율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로 내 포유류 추락 피해는 고라니가 가장 많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수달과 삵도 출현하였다. 추락 피해 방지 시설의 설치 여부에 따른 포유류 출현 건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출현 건수는 횡단 이동 시설이 설치 구간에서 미설치 구간보다 낮았다. 한편 탈출 시설과 회피 유도 시설 설치 구간과 미설치 구간에 서는 포유류 평균 출현 건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최대 출현 건수에서는 설치 구간에서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인공구조물에 추락 피해 방지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야생동물의 추락 피해를 줄이고 원활한 이동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인공구조물 설계 및 관리 시에는 추락 피해 방지 시설의 설치를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가장 높은 추락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는 고라니는 2018-2022년 전국 야생동물구조센터 17개소 전체 신고 건수 중 가장 높은 비중(77.2%)을 차지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이는 농수로가 설치된 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농경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수계와 농경지를 선호하는 고라니의 서식지 선호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Jung et al, 2015; Park and Lee, 2013). 따라서 향후 농수로 추락 피해 저감 주요 목표종으로 고라니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야생동물구조센터 추락 신고 자료는 지역 사회의 야생동물 보호 인식에 영향을 받아 일부 지역에서 편향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출현 건수 산정 방식은 일부 종의 탈출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어 향후 인공구조물 추락 피해 방지 시설 설치 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국 자연환경조사, 로드킬 발생 데이터 등 기조사된 야생생물 출현 자료를 바탕으로 인공구조물이 위치한 지역의 포유류 서식 밀도를 확인하고 인공구조물의 유형과 규격에 따른 탈출 가능성을 평가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using funds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IE-B-2024-05).

Conflict of Interest

On behalf of all authors, the corresponding author states that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Information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NIE-B-2024-05).

Data Availability Statement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penly available in Ecobank at https://doi.org/10.22756/GEO.20240000000915.

Fig. 1.
The sight of a water deer falling into irrigation canals.
GD-2024-0062f1.jpg
Fig. 2.
Location of the study area (80 sites).
GD-2024-0062f2.jpg
Table 1.
Relevant laws and provisions on wildlife collision and fall damage
Relevant law Detailed provisions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Article 8-2 (prevention of harming wild animals by artificial structures)
Article 7-2 (revocation of designation of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
Table 2.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80 irrigation canals
Site Location Section length (km) Average width (m) Minimum width (m) Maximum width (m) Average height (m) Minimum height (m) Maximum width standard height (m) Escape facility Crossing facility Avoidance guiding facility
SW1 US 2.93 0.7 0.7 1 0.6 0.6 1 O
SW2 GJ 2.9 1.26 0.5 2.5 0.91 0.5 1.5 O
SW3 JB 2.8 0.6 0.6 0.6 0.6 0.6 0.6
SW4 GB 2.26 0.7 0.7 0.7 0.6 0.6 0.6
SW5 GJ 2.73 1 1 1 0.8 0.8 0.8 O
SW6 GN 2.5 0.5 0.5 0.5 0.5 0.5 0.5
SW7 CN 2 0.83 0.6 1 0.85 0.7 1 O
SW8 GB 1.65 1 1 1 1 1 1
SW9 CB 2.23 0.5 0.5 0.5 0.5 0.5 0.5
SW10 CB 2.13 0.5 0.5 0.5 0.5 0.5 0.5
SW11 JN 1.84 0.8 0.8 0.8 0.7 0.7 0.7
SW12 JN 2.5 0.6 0.5 0.8 0.6 0.5 0.8 O O
SW13 JB 2.2 0.68 0.4 1.2 0.58 0.4 0.8 O
SW14 JB 2 0.58 0.5 0.8 0.62 0.5 0.8 O
SW15 GW 3 1.39 0.6 3.8 1.04 0.7 2 O
MW1 GN 2.2 1.82 0.5 4 0.96 0.5 1.2 O O
MW2 GJ 3.1 5.05 0.1 10 1.75 1.3 2 O
MW3 JB 2.9 2 0.11 4 1.68 1.2 2 O
MW4 GB 0.8 1.6 1.6 1.6 1.2 1.2 1.2 O
MW5 JB 1.5 3 0.5 5.5 1.25 0.5 2 O O
MW6 GN 3 1.32 0.5 3.5 0.88 0.5 1.5 O
MW7 GJ 2.16 3 3 3 2 2 2 O
MW8 GN 2 2.23 0.4 3.3 1.07 0.4 1.6 O
MW9 GB 3.41 1.2 0.7 2 1.33 1 2 O O
MW10 GB 3 1.35 0.6 3 1.3 0.6 3 O
MW11 CN 2.2 1.65 1.3 2 1 1 1 O
MW12 JN 2.6 2.85 1.2 5 2.05 1.1 3 O
MW13 JN 1.34 1.6 1.6 1.6 1.6 1.6 1.6
MW14 JB 2.1 4 4 4 1.5 1.5 1.5 O O
MW15 GW 2.8 1 0.5 2 0.8 0.5 1 O O
LW1 JB 3 8 8 8 2 2 2 O O O
LW2 JB 2 5.5 5.5 6 1.8 1.8 2 O O O
LW3 CN 2.5 11.5 11 12 1.7 1.7 1.7 O O
LW4 CN 2.7 8.5 7 10 2.5 2.5 2.5 O O O
LW5 CN 3.3 7.67 4 11 2.5 2.5 2.5 O O
LW6 CN 2.9 14 14 14 3 3 3 O O
LW7 CN 4.6 6 5 7 2 2 2 O O O
LW8 CN 3.1 5 4 6 3.5 3.5 3.5 O O
LW9 DJ 2.2 3.04 2.4 6 1.73 1.2 2.2 O
LW10 JB 3.2 14.7 9.4 20 2.8 2.8 3 O
AM1 GW 2 0.9 0.5 1.2 0.9 0.5 1.2
AM2 GG 2.5 0.7 0.6 0.8 0.5 0.4 0.4
AM3 GG 2.7 2 2 2 1.5 1.5 1.5 O
AM4 GN 1 0.6 0.6 0.6 0.75 0.6 0.9
AM5 GB 0.9 3 3 3 1.75 1.5 2
AM6 GB 1.6 1.67 0.5 3 0.9 0.5 1 O
AM7 GB 1.1 3.5 3.5 3.5 1.5 1.5 1.5
AM8 GB 0.9 1 1 1 0.8 0.8 0.8
AM9 DJ 3 3.65 0.6 9 1.28 0.6 2.3 O
AM10 JN 1.3 0.53 0.5 0.6 0.47 0.2 0.7
AM11 JN 0.6 0.55 0.5 0.6 0.55 0.4 0.7
AM12 JN 1.8 1.25 0.5 2 0.75 0.5 1
AM13 JN 1 2.5 0.5 4.5 1.1 0.5 1.7
AM14 JB 3.2 0.77 0.5 1 0.73 0.4 1
AM15 JB 2.6 0.75 0.3 1.2 0.75 0.4 1.1
AM16 JB 2.7 0.7 0.5 1 0.6 0.5 0.8 O
AM17 JB 2.9 1 1 1 1 0.8 1.2
AM18 JB 3 0.55 0.5 0.6 0.55 0.5 0.6
AM19 CN 1.7 1.63 1.3 2 1.25 1 1.4
AM20 CN 2.8 0.8 0.6 1.2 0.67 0.4 1
MM1 GN 3.8 2.95 2.7 3.2 1.5 1.2 1.2 O
MM2 GN 3 3.3 3.3 3.3 1.8 1.8 1.8 O
MM3 GB 3.5 2.5 2.5 2.5 1.5 1.5 1.5
MM4 JB 3.1 7 7 7 2 2 2 O
MM5 JB 3 8.5 4 13 2 2 2 O
MM6 JB 3 1.5 1.5 1.5 2 2 2
MM7 CN 2.6 2 2 2 1.2 1.2 1.2 O
MM8 CN 3.3 18.5 18.5 19 2 2 2 O O
MM9 CN 3.1 12 12 12 2 2 2 O
MM10 CN 3.3 8 4 12 3 3 3 O
MM11 CN 3.2 7.5 3 12 4 3 5 O
MM12 CN 3.1 6 3 9 2.5 2 3 O O
MM13 CN 3.1 12 12 12 4 3 5 O
MM14 CN 3 1.57 1 2.2 1.1 1 1.2
MM15 CN 3.3 1.67 1 2.5 1.2 1 1.5
MM16 CN 2.3 2.25 1.5 3 1.35 1.2 1.5
MM17 CB 4.7 3.4 3.4 3.4 1.5 1.5 1.5
MM18 CB 4.2 4 4 4 2 2 2 O
MM19 CB 4.3 3 2.5 3.5 1.6 1.2 1.2
MM20 US 3 2.5 2 3 1.25 1 1.5 O
Total 205.48 267.41 206.21 341.1 112.1 96.1 129
Average 2.57 3.34 2.58 4.26 1.40 1.20 1.61

US, Ulsan; GJ, Gwangju; JB, Jeonbuk-do; GB, Gyeongsangbuk-do; GN, Gyeongsangnam-do; CN, Chungcheongnam-do; CB, Chungcheongbuk-do; JN, Jeollanam-do; GW, Gangwon-do; DJ, Daejeon; GG, Gyeonggi-do.

Table 3.
The number of mammal appearances in 80 irrigation canals
Species H. inermis F. catus C. lupus familiaris N. rocyonoides M. robusta S. scrofa L. lutra P. bengalensis M. sibirica Rodentia M. leucurus Total
Number of sightings 189 15 31 107 120 1 55 49 23 26 4 620
Table 4.
The number of mammal appearances in 80 irrigation canals
Escape facility
Crossing facility
Guidance facility
O X O X O X
Average occurrence frequency (cases/km) 3.42 3.05 5.59 1.61 2.84 3.23
Maximum occurrence frequency (cases/km) 10.67 11.25 11.25 5.56 8.52 11.25
  • Albanesi SA, Jayat JP, Brown AD (2016) Mammal mortality and mitigation measures in irrigation canals of the Yungas foothills in the upper basin of the Bermejo River, Argentina. Mastozool. Neotrop 23(2):505–514
  • Azedo R, Ilhéu A, Santos S, Vaz PG (2022) Carnivores cross irrigation canals more often through overpasses than through culverts. Basic Appl Ecol 61:53–67Article
  • Bae JH, Ju YD, Shim SW, Bae YS (2024) A study on improving survival of bombina orientalis through escape facilities in artificial canals. J Environ Impact Assess 33(1):1–8
  • Collinge SK (2001) Spatial ecology and biological conservation. Biol Conserv 100(1):1–2Article
  • Gálvez Á, Alonso M, Bisbal-Chinesta JF, et al (2023) Man-made infrastructures as accidental traps for herpetofauna in eastern Spain: incidence and modelling. Amphibia-Reptilia 44(3):289–300Article
  • Gómez-Ortiz Y, Domínguez-Vega H, Soria-Díaz L, et al (2024) Negative effects of agricultural open-channel irrigation system on vertebrate populations in central Mexico. PeerJ 12:e17818ArticlePubMedPMCPDF
  • Jung SG, Lee HS, Park JH, et al (2015) Identification of suitable areas for riparian wildlife corridors considering the MaxEnt model and movement behavior of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J Korean Soc Surv Geod Photogramm Cartogr 23(1):101–111
  • Lee T, Kim J, Seo J, Jang M, Choi T, Chang M (2022) Analysis of rana coreana behavior according to the slope angle degree of escape ramp. J Environ Impact Assess 31(1):75–81
  •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23) Statistical Yearbook 202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ejeon, 883p
  • Ministry of Environment (2024) Wild animal collision and fall damage survey and detailed guidelines for damage prevention measure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64p
  • Morimoto GE, Otto A, Burkholder LL (2021) An innovative temporary escape ramp for deer and other wildlife. CDFW 107(3):213–228Article
  •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Survey on the status and management system of wildlife collisions and falls for 2023.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118p
  • Park H, Lee S (2013) Habitat use pattern of Korean Waterdeer based on the land coverage map. J Wet Res 15(4):567–572Article
  • van der Ree R, Jaeger JA, van der Grift EA, Clevenger AP (2011) Effects of roads and traffic on wildlife populations and landscape function: road ecology is moving toward larger scales. Ecol Soc 16(1):48
Meta Data for Dataset
Essential
Field Sub-Category
Title of Dataset Status of Mammals entrapment in Open Irrigation Canals
DOI https://doi.org/10.22756/GEO.20240000000915
Category Environment
Temporal Coverage 2023.08.-2024.11.
Spatial Coverage Address South Korea
WGS84 Coordinates [Latitude] 34.699856, 126.485960
[Longitude] 37.798124, 129.252500
Personnel Name Jiyoun Kim
Affili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E-mail wcs8606@nie.re.kr
CC License CC BY-NC
Optional
Field Sub-Category
Summary of Dataset The lo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80 irrigation canals collected through surveys
Project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Wildlife Collision and Fall Damage
Instrument Field survey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Figure
      • 0
      • 1
      Status of Mammals Entrapment in Open Irrigation Canals
      Image Image
      Fig. 1. The sight of a water deer falling into irrigation canals.
      Fig. 2. Location of the study area (80 sites).
      Status of Mammals Entrapment in Open Irrigation Canals
      Relevant law Detailed provisions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Article 8-2 (prevention of harming wild animals by artificial structures)
      Article 7-2 (revocation of designation of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
      Site Location Section length (km) Average width (m) Minimum width (m) Maximum width (m) Average height (m) Minimum height (m) Maximum width standard height (m) Escape facility Crossing facility Avoidance guiding facility
      SW1 US 2.93 0.7 0.7 1 0.6 0.6 1 O
      SW2 GJ 2.9 1.26 0.5 2.5 0.91 0.5 1.5 O
      SW3 JB 2.8 0.6 0.6 0.6 0.6 0.6 0.6
      SW4 GB 2.26 0.7 0.7 0.7 0.6 0.6 0.6
      SW5 GJ 2.73 1 1 1 0.8 0.8 0.8 O
      SW6 GN 2.5 0.5 0.5 0.5 0.5 0.5 0.5
      SW7 CN 2 0.83 0.6 1 0.85 0.7 1 O
      SW8 GB 1.65 1 1 1 1 1 1
      SW9 CB 2.23 0.5 0.5 0.5 0.5 0.5 0.5
      SW10 CB 2.13 0.5 0.5 0.5 0.5 0.5 0.5
      SW11 JN 1.84 0.8 0.8 0.8 0.7 0.7 0.7
      SW12 JN 2.5 0.6 0.5 0.8 0.6 0.5 0.8 O O
      SW13 JB 2.2 0.68 0.4 1.2 0.58 0.4 0.8 O
      SW14 JB 2 0.58 0.5 0.8 0.62 0.5 0.8 O
      SW15 GW 3 1.39 0.6 3.8 1.04 0.7 2 O
      MW1 GN 2.2 1.82 0.5 4 0.96 0.5 1.2 O O
      MW2 GJ 3.1 5.05 0.1 10 1.75 1.3 2 O
      MW3 JB 2.9 2 0.11 4 1.68 1.2 2 O
      MW4 GB 0.8 1.6 1.6 1.6 1.2 1.2 1.2 O
      MW5 JB 1.5 3 0.5 5.5 1.25 0.5 2 O O
      MW6 GN 3 1.32 0.5 3.5 0.88 0.5 1.5 O
      MW7 GJ 2.16 3 3 3 2 2 2 O
      MW8 GN 2 2.23 0.4 3.3 1.07 0.4 1.6 O
      MW9 GB 3.41 1.2 0.7 2 1.33 1 2 O O
      MW10 GB 3 1.35 0.6 3 1.3 0.6 3 O
      MW11 CN 2.2 1.65 1.3 2 1 1 1 O
      MW12 JN 2.6 2.85 1.2 5 2.05 1.1 3 O
      MW13 JN 1.34 1.6 1.6 1.6 1.6 1.6 1.6
      MW14 JB 2.1 4 4 4 1.5 1.5 1.5 O O
      MW15 GW 2.8 1 0.5 2 0.8 0.5 1 O O
      LW1 JB 3 8 8 8 2 2 2 O O O
      LW2 JB 2 5.5 5.5 6 1.8 1.8 2 O O O
      LW3 CN 2.5 11.5 11 12 1.7 1.7 1.7 O O
      LW4 CN 2.7 8.5 7 10 2.5 2.5 2.5 O O O
      LW5 CN 3.3 7.67 4 11 2.5 2.5 2.5 O O
      LW6 CN 2.9 14 14 14 3 3 3 O O
      LW7 CN 4.6 6 5 7 2 2 2 O O O
      LW8 CN 3.1 5 4 6 3.5 3.5 3.5 O O
      LW9 DJ 2.2 3.04 2.4 6 1.73 1.2 2.2 O
      LW10 JB 3.2 14.7 9.4 20 2.8 2.8 3 O
      AM1 GW 2 0.9 0.5 1.2 0.9 0.5 1.2
      AM2 GG 2.5 0.7 0.6 0.8 0.5 0.4 0.4
      AM3 GG 2.7 2 2 2 1.5 1.5 1.5 O
      AM4 GN 1 0.6 0.6 0.6 0.75 0.6 0.9
      AM5 GB 0.9 3 3 3 1.75 1.5 2
      AM6 GB 1.6 1.67 0.5 3 0.9 0.5 1 O
      AM7 GB 1.1 3.5 3.5 3.5 1.5 1.5 1.5
      AM8 GB 0.9 1 1 1 0.8 0.8 0.8
      AM9 DJ 3 3.65 0.6 9 1.28 0.6 2.3 O
      AM10 JN 1.3 0.53 0.5 0.6 0.47 0.2 0.7
      AM11 JN 0.6 0.55 0.5 0.6 0.55 0.4 0.7
      AM12 JN 1.8 1.25 0.5 2 0.75 0.5 1
      AM13 JN 1 2.5 0.5 4.5 1.1 0.5 1.7
      AM14 JB 3.2 0.77 0.5 1 0.73 0.4 1
      AM15 JB 2.6 0.75 0.3 1.2 0.75 0.4 1.1
      AM16 JB 2.7 0.7 0.5 1 0.6 0.5 0.8 O
      AM17 JB 2.9 1 1 1 1 0.8 1.2
      AM18 JB 3 0.55 0.5 0.6 0.55 0.5 0.6
      AM19 CN 1.7 1.63 1.3 2 1.25 1 1.4
      AM20 CN 2.8 0.8 0.6 1.2 0.67 0.4 1
      MM1 GN 3.8 2.95 2.7 3.2 1.5 1.2 1.2 O
      MM2 GN 3 3.3 3.3 3.3 1.8 1.8 1.8 O
      MM3 GB 3.5 2.5 2.5 2.5 1.5 1.5 1.5
      MM4 JB 3.1 7 7 7 2 2 2 O
      MM5 JB 3 8.5 4 13 2 2 2 O
      MM6 JB 3 1.5 1.5 1.5 2 2 2
      MM7 CN 2.6 2 2 2 1.2 1.2 1.2 O
      MM8 CN 3.3 18.5 18.5 19 2 2 2 O O
      MM9 CN 3.1 12 12 12 2 2 2 O
      MM10 CN 3.3 8 4 12 3 3 3 O
      MM11 CN 3.2 7.5 3 12 4 3 5 O
      MM12 CN 3.1 6 3 9 2.5 2 3 O O
      MM13 CN 3.1 12 12 12 4 3 5 O
      MM14 CN 3 1.57 1 2.2 1.1 1 1.2
      MM15 CN 3.3 1.67 1 2.5 1.2 1 1.5
      MM16 CN 2.3 2.25 1.5 3 1.35 1.2 1.5
      MM17 CB 4.7 3.4 3.4 3.4 1.5 1.5 1.5
      MM18 CB 4.2 4 4 4 2 2 2 O
      MM19 CB 4.3 3 2.5 3.5 1.6 1.2 1.2
      MM20 US 3 2.5 2 3 1.25 1 1.5 O
      Total 205.48 267.41 206.21 341.1 112.1 96.1 129
      Average 2.57 3.34 2.58 4.26 1.40 1.20 1.61
      Species H. inermis F. catus C. lupus familiaris N. rocyonoides M. robusta S. scrofa L. lutra P. bengalensis M. sibirica Rodentia M. leucurus Total
      Number of sightings 189 15 31 107 120 1 55 49 23 26 4 620
      Escape facility
      Crossing facility
      Guidance facility
      O X O X O X
      Average occurrence frequency (cases/km) 3.42 3.05 5.59 1.61 2.84 3.23
      Maximum occurrence frequency (cases/km) 10.67 11.25 11.25 5.56 8.52 11.25
      Essential
      Field Sub-Category
      Title of Dataset Status of Mammals entrapment in Open Irrigation Canals
      DOI https://doi.org/10.22756/GEO.20240000000915
      Category Environment
      Temporal Coverage 2023.08.-2024.11.
      Spatial Coverage Address South Korea
      WGS84 Coordinates [Latitude] 34.699856, 126.485960
      [Longitude] 37.798124, 129.252500
      Personnel Name Jiyoun Kim
      Affili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E-mail wcs8606@nie.re.kr
      CC License CC BY-NC
      Optional
      Field Sub-Category
      Summary of Dataset The lo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80 irrigation canals collected through surveys
      Project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Wildlife Collision and Fall Damage
      Instrument Field survey
      Table 1. Relevant laws and provisions on wildlife collision and fall damage

      Table 2.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80 irrigation canals

      US, Ulsan; GJ, Gwangju; JB, Jeonbuk-do; GB, Gyeongsangbuk-do; GN, Gyeongsangnam-do; CN, Chungcheongnam-do; CB, Chungcheongbuk-do; JN, Jeollanam-do; GW, Gangwon-do; DJ, Daejeon; GG, Gyeonggi-do.

      Table 3. The number of mammal appearances in 80 irrigation canals

      Table 4. The number of mammal appearances in 80 irrigation canals


      GEO DATA : GEO DATA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