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대전 34132, 대한민국
Geoscience Platform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Daejeon 34132, Republic of Korea
Copyright © 2020 GeoAI Data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이름 | 설명 |
---|---|
경사 방향(Aspect) | 이웃한 격자로부터 가장 큰 변화율을 가지는 경사의 방향을 나타낸다. 각 셀은 경사면이 마주한 지역의 방향 값을 가지며, 이는 0°에서 360° 까지 시계방향으로 표시 된다. 경사가 없는 평평한 지역은 -1로 표시한다. |
지형 곡률 분류(Curvature Classification) | 경사의 모양과 지형의 형태를 대표하는 값이다. 유속 및 유수 가속과 침식, 퇴적율과 관련이 있다. |
지형 특성(Morphometric Features) | 최소 격자를 통한 모든 크기에 2차 변수를 적합 시켜 후속 형태계 특성(피크, 능선, 통과, 채널, 피트 및 평면)의 분류이며, 이를 위해 울기, 측면 및 곡선(옵션 출력)을 도출하는 다중 척도 접근방식을 사용한다. |
경사 높이(Slope Height) | 경사 기저부에서 경사의 꼭대기까지의 수직 거리(즉, 두 경사면의 교차 선)로 정의된다. |
지형 경사(Slope) | 지표면의 두 지점 사이의 고도 변화율로서 표현된다. 이는, 이웃한 셀에 대해 가장 큰 변화율을 보이는 값으로 계산되며, 변화율이 클수록 가파른 지형, 작을수록 완만한 지형 임을 의미한다. |
표면적 (Surface Area) | 지형 경사면 혹은 평면에서의 표면적 값을 의미한다. |
지표 거칠기 지수(Terrain Ruggedness Index) | 지형의 거친 정도를 대표하는 값으로, 인접한 셀 중 가장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의 고도 차이 값의 제곱의 절대값으로 계산된다. |
지형 위치 지수(Topographic Position Index) | 지형의 상대적 위치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값이다. TPI 산출 모델은 특정 셀의 고도 값과 인접한 셀들의 평균 고도 값의 차이를 이용해 산출되며, TPI 값은 전체 경관단위에서 표고 차에 따른 지형의 위치를 나타낸다. |
계곡 깊이(Valley Depth) | 수계망 기준면과 DEM의 수직 거리 차이 값이다. |
수렴 지수(Convergence Index) | 수렴 지수는 수렴 영역(채널)과 발산 영역(능선)의 집합으로서 완화 구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지형 매개변수다. |
지형 구배(Gradient) | 지표면과 수평면의 서로 기울어진 정도를 의미한다. |
질량 균형 지수(Mass Balance Index) | 지형의 특징을 퇴적과 침식의 개념으로 나타내는 지수로 음수는 계곡같이 퇴적되는 곳을 양수는 언덕 같이 침식되는 곳을 나타낸다. |
지형 곡률(Convexity) | 지형의 형태적으로 보았을 때, 볼록 휘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
정규화된 높이(Normalized Height) | 지형의 고도값을 정규화하여 나타낸 고도분포도이다. |
이름 | 설명 |
---|---|
집수 면적(Catchment Area) | 유역에 떨어지는 강수량의 바다 쪽으로 흐르는 같은 강으로 합류한다. 이렇게 합류하는 지역을 집수 지역이라고 하고 집수 면적은 이러한 집수 지역의 넓이를 말한다. |
집수 경사(Catchment Slope) | 집수 경사는 집수의 특정 지점 사이의 고도 차이를 집수 길이로 나눈 집수 구역의 기울기를 말한다. |
물 흐름 누적(Flow Accumulation) | 아랫방향으로 흐르는 모든 셀의 누적된 값을 나타낸다. 이 값은 각 셀에 유입되는 셀의 총 합이다. 이러한 모델은 DEM에서 각 셀의 흐름을 개별적으로 추적하여 최종적으로 DEM에서 나가거나, 흐름이 최종적으로 DEM을 벗어나거나 가라앉을 때까지 추적한다. |
물 흐름 경로 길이(Flow Path Length) |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각 셀에 대한 유수로의 길이 값을 말한다. |
경사 길이와 기울기(LS Factor) | 기울기 경사도와 기울기 값을 같이 고려하여 나타낸 값이다. 이러한 LS 지수는 토양 침식에 대한 지형의 영향을 나타낸다. |
경사 길이(Slope Length) | 지형 경사의 길이를 나타낸다. |
지형습윤지수(Topographic Wetness Index) | TWI는 강우 유출 모델에 사용되며 물의 공간적 특성을 묘사한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
격자 균형(Cell Balance) | 격자 간의 균형 정도를 나타낸다. |
하천 강도 지수(Stream Power Index(SPI)) | 흐르는 물의 침식력를 측정한 것이다. SPI는 경사 및 특정 유역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SPI = SCA(특정 유역 면적) * tan(경사) |
위쪽 경사면 면적(Upslope Area) | 위쪽 경사면 면적은 결과는 각 격자에 대해 대상 격자에 도달하는 흐름의 비율이다. 위쪽 경사면에서 기여하는 면적을 확인되기 위해 대상 격자를 지정할 수 있다. |
Sort | Field | Subcategory#1 | Subcategory#2 |
---|---|---|---|
Essential | Title | Morphology/Hydrology | |
*DOI name | Aspect | 10.22761/DATA2020.2.2.001 | |
Curvature Classification | 10.22761/DATA2020.2.2.002 | ||
Morphometric Features | 10.22761/DATA2020.2.2.003 | ||
Slope Height | 10.22761/DATA2020.2.2.004 | ||
Slope | 10.22761/DATA2020.2.2.005 | ||
Surface Area | 10.22761/DATA2020.2.2.006 | ||
Topographic Position Index | 10.22761/DATA2020.2.2.007 | ||
Valley Depth | 10.22761/DATA2020.2.2.008 | ||
Convergence Index | 10.22761/DATA2020.2.2.009 | ||
Gradient | 10.22761/DATA2020.2.2.010 | ||
Mass Balance Index | 10.22761/DATA2020.2.2.011 | ||
Convexity | 10.22761/DATA2020.2.2.012 | ||
Normalized Height | 10.22761/DATA2020.2.2.013 | ||
Catchment Area | 10.22761/DATA2020.2.2.014 | ||
Catchment Slope | 10.22761/DATA2020.2.2.015 | ||
Flow Accumulation | 10.22761/DATA2020.2.2.016 | ||
Flow Path Length | 10.22761/DATA2020.2.2.017 | ||
LS Factor | 10.22761/DATA2020.2.2.018 | ||
Slope Length | 10.22761/DATA2020.2.2.019 | ||
Topographic Wetness Index | 10.22761/DATA2020.2.2.020 | ||
Cell Balance | 10.22761/DATA2020.2.2.021 | ||
Stream Power Index(SPI) | 10.22761/DATA2020.2.2.022 | ||
Upslope Area | 10.22761/DATA2020.2.2.023 | ||
Terrain Ruggedness Index | 10.22761/DATA2020.2.2.024 | ||
*Category | geoscientificInformation | ||
Abstract | |||
*Temporal Coverage | |||
*Spatial Coverage | South Korea (Latitude 33°N ~ 43°N, Longitude 124°E ~ 132°E) | ||
*Personnel | Name | LEE Saro | |
Affiliation | KIGAM | ||
leesaro@kigam.re.kr | |||
*License | CC BY | ||
Optional | *Project | Project of Environmental Business Big Data Platform and Center Construction | |
*Instrument | MI |